티스토리 뷰
배열(Array)
- 데이터를 나열하고, 각 데이터를 인덱스에 대응하도록 구성한 데이터 구조
- 파이썬에서는 List DataType이 배열 기능을 제공한다.
배열이 필요한 이유
-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함
-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
- 장점
→ 접근이 빠르다. - 단점
→ 미리 최대 길이를 지정해야 한다.
→ 추가 또는 삭제가(데이터가 가변적이다.) 쉽지 않다.
단, Python에서는 단점이 많이 보안되었다.
Python 배열(List Type)
# 1차원 배열(list로 구현)
data = [1, 2, 3, 4, 5]
data
[1, 2, 3, 4, 5]
→ 1차원 데이터 접근(인덱싱-Indexing)
data[0]
1
# 2차원 배열(list로 구현)
data = [
[1, 2],
[3, 4],
[5, 6],
]
data
[[1, 2], [3, 4], [5, 6]]
→ 2차원 데이터 접근(인덱싱-Indexing)
data[0]
[1, 2]
→ 2차원 속 1차원 데이터 접근(인덱싱-Indexing)
data[0][0]
1
정리
- 배열 : 유사한 데이터를 연결된 데이터 공간에 넣는 것
- 해당 주소 값(인덱스 Index)을 알면 원하는 데이터를 바로 불러올 수 있다.
'Python > 알고리즘_with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] : 스택(Stack) & 재귀함수(recursive function) 동작방법 (0) | 2022.06.06 |
---|---|
[자료구조] : 큐(Queue) - 우선순위 선출, Priority (0) | 2022.06.05 |
[자료구조] : 큐(Queue) - 후입선출, LIFO(Last-In-First-Out) (0) | 2022.06.05 |
[자료구조] : 큐(Queue) - 선입선출, FIFO(First-In-First-Out) (0) | 2022.06.05 |
[개념] :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(0) | 2022.05.25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print()
- Python
- matplotlib
- sad asd
- 콘다
- _의미
- 재귀함수 이해
- 파이썬 변수
- 이중 프린트
- _meaning
- parameters
- anaconda
- sdsad
- asd ad
- conda
- d asd asd
- 변수 덮어쓰기
- 파이썬
- 덮어쓰기
- 재귀?
- 백준
- sep=
- 이스케이프 코드
- recursive function
- recursive
- list comprehension
- underscore
- 연산속도
- 재귀함수 설명
- argument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